카테고리

rss 아이콘 이미지

안녕하세요? 메르스(MERS) 쫓는 탐정입니다.

- 역학조사관의 조사 기록 

 

 

 

이달 말 예정이었던 메르스 종식선언을 앞두고 마지막 메르스 환자가 양성반응을 보여 지난 12일 재격리 치료에 들어갔다. 이후, 완료된 것으로 잠정 판단되었던 메르스는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는 등 대한민국을 공포로 밀어 넣었다. 지난 8월, 전체 확진자가 186명, 이 중 사망자가 36명이라는 점에서 이번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사우디아라비아 다음으로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한 사례로 기록되었었다. Coronaviriadae에 속한 MERS-CoV는 RNA 바이러스로서 40%에 달하는 높은 치명률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검증된 백신이 없는 그야말로 ‘잘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였다. 발병의 특징은 발원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한국이 동일했다.


그러나 한국에서 확산된 유행의 특징은 ‘병원에서 병원으로 이동한 감염 전파’ 라는 데에서 그 형태가 달라졌다. 1개의 병원에서 17개의 병원으로 퍼졌으며, 186명의 확진자 중 대다수(98.38%)인 183명이 병원관련 감염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이다. 바이러스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던 것도 원인이었지만, 대한민국의 의료시스템과 문화적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전문가들조차 의견이 엇갈렸고, 이로 인해 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추가로 속출하였다는 데에 각종 학계와 언론에서는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와 동시에 뒤늦게라도 메르스 사태를 종식시키는 데에 고된 발품을 팔았던 일등 공신 ‘역학조사관’에 대한 찬사와 격려가 쏟아졌다. 더불어 조사관의 인력확충 및 양성소 관리의 절실함에 대한 논의가 새롭게 대두되었다.

 


역학조사관이란, 각종 감염병이 발생할 경우 질병 전염의 원인을 수사하듯 찾아야 하기 때문에 ‘질병 수사관’이라고도 불린다. 환자와의 면담을 통해 역학적 특징을 조사하고, 기록한 역학 조사서를 토대로 질병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그들의 주된 업무이다. 동시에 환자의 접촉력과 질병 확산을 추적하기 위해 확진자의 병원 방문기록, CCTV 자료를 확보하며 기저질환의 조사를 수행한다. 평택성모병원에서 36명(전체 확진자의 19.4%)을 감염시킨 1번 환자는 기저질환이 없었으며 평소 꾸준한 운동을 통해 건강한 신체조건을 유지했던 평범한 사업가였다. 중동 바이어와의 컨택을 위해 5월 4일부터 11일까지 아랍에미리트를 방문하였으나 현지 바이어 중 메르스 관련 증상이 있었던 사람은 없었다고 증언했다. 이후 11일부터 발열과 기침 증상이 나타나 12일과 14일, 15일에 아산 서울병원에 방문하였지만 별다른 진척이 없어 곧바로 퇴원하게 되었다. 그러나 환자 스스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 15일부터 17일까지 평택성모병원에 입원한 후 17일 서울의 한 개인 병원에서 추가 진료를 받았다. 이후에도 증상이 점점 심해지자 삼성 서울병원으로 이동하였으나, 입원실이 없어 다음 날인 18일에 재방문하여 입원 수속을 밟을 수 있었다. 발병 이후 긴 시간동안 곳곳의 병원을 전전하였으나 메르스 확진을 받은 것은 20일이었으며 이후 국립 중앙으료원으로 전원 되어 본격적으로 격리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병원에서 병원으로 전전했던 기록은 환자의 구두 면담과 입원 신청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자료조사로 해결된다. 그러나 1번 환자가 최종 확진을 받기 전까지 이동하며 발생시킨 수많은 전염 가능성을 찾아내는 것은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격리 대상자를 색출해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내야하는 정보인 것은 자명하다. 바로 이 시점에서 ‘질병 수사관’이 투입된다.


메르스 창궐 당시, 발단환자(index case)였던 1번 환자와 2차 감염의 주축을 이룬 14번 환자의 동선을 확보하기 위해 역학조사관들이 이 잡듯이 뒤졌던 것은 CCTV 자료화면이었다. 조사관들은 병원 곳곳에 설치되어 있던 24시간 녹화 카메라의 파일을 전문 분석업체에 의뢰, 협력하여 케이스 넘버링 한 환자들의 이동을 분석하였다. 1번 환자에 의해 감염된 14번 환자는 2차 감염으로 전체 메르스 확진자의 48.9%에 달하는 유행을 만들어 내었으므로 해당 환자의 동선을 확보하는 것이 격리 대상 확인을 위한 긴급 업무였다. 우선 14번 환자의 접촉력과 인적사항을 확인한다. 그는 오후 12시에 부인의 진료와 친인척의 수술을 위해 삼성서울병원을 내원했으며, 지하 1층 대기실에서 수술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고 진술했다. 이동 경로의 확인을 위해 녹화화면을 보던 중, 오후 1시 10분경에 14번 환자가 부인과 함께 산부인과 외래 진료실에 머물렀던 것이 확인되었다. 이어서 한 시간 정도 뒤인 오후 2시 13분, 14번 환자가 머물렀던 동일한 자리에 142번 환자가 앉는 것을 포착하였다. CCTV 상 14번 환자는 동일한 장소에서 마스크 없이 연신 기침을 하고 있었고 응급실 환경 검체상 오염된 환경이었다. 142번 환자는 오염된 시트의 의자에 앉아 30분 동안 머물렀다가 진료실을 나갔고 이후 메르스의 초기 증상이 나타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


모든 케이스의 환자를 넘버링하여 감염 루트를 분석하는 것은 분명히 고단한 수작업이며 그 과정에서 수많은 가설 설정과 폐기, 끊임없는 근거 요구 작업이 이루어진다. 작업 도중 부딪히는 현실적인 장애물들도 간과할 수 없다. 메르스의 최초 발원지였던 평택 성모 병원은 설립된 지 오래 되지 않은 신식 병원이었다. 설치된 CCTV의 기능이 우수한 덕에 수사에 원활한 도움이 되었다며 역학조사관들은 입을 모았다. 그러나 이들을 곤경에 빠뜨렸던 것은 확진자가 병원 밖으로 나갔을 경우의 행방이었다. 논의 끝에 서울시와 경기도 공무원들의 협조를 받아 특별 수사권을 요청, 환자들의 신용카드사용 내역을 조회한 결과 병원 외부 이동 경로를 확보할 수 있었다. 분 단위의 사용 내역을 토대로 확진자가 병원에서 인근 편의점으로, 이후 카페로 이동한 것을 확인해 지도로 동선을 그리는 데 성공했다.

마지막 확진자의 격리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메르스 사태가 어느 정도 가라앉은 시점에서 역학 조사관들의 인력 확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감염 곡선이 최고 수치를 기록했던 시점의 한 달 전, 1천250여만 명이 거주하는 경기지역에 소속된 조사관의 수는 단 3명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마저도 정부 측에서 감원시킨 탓에 6~7월경 평택지역을 휩쓸었던 메르스 대란에 신속히 대처하지 못한 것으로 지난 13일 확인됐다.

 

신윤경 기자/조선
<psyche2302@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