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rss 아이콘 이미지

Search

의대생도 창업할 수 있다, 없다?
-
당연히 있다!

여기 평범한 의대생이라면 깜짝 놀랄 사업가가 있다. 의대생인데 사업가라니? 만성질환자 헬스 케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있는 회사의 COO(Chief operating officer) 박기범(연세대학교 본과 4학년)씨를 만나보았다.

Q. 만성질환자를 위한 어플을 만든 첫 계기는?
A. 병원 실습을 하면서 만성 질환자들이 대학병원에 몇 달에 한번 씩 오면서도 진료시간은 턱없이 부족하고 평소에도 혈당이나 혈압 관리나 약물 복용 순응도를 스스로 체크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거기에서 처음으로 문제 제기를 한거죠.

Q. 그런 문제제기를 했다고 해서 의대생의 신분으로 실제로 실행에 옮겨지기가 쉽지만은 않을텐데.
A. 네 사실 2012년 연세대 특성화 사업에 저와 제 친구 두 명이 그 문제에 대해서 머리를 맞대고 생각해 낸 결과물을 제출했어요. 만성질환자 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을 주제로요. 그리고 저희의 그 창업 아이디어로 2013년 초 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창업사관학교 3기에 뽑혀 사업비 1억1천1백만 원을 따내게 되었죠. 그렇게 사업비를 따내고 나니 이왕 이렇게 된 거 제대로 해보자는 마음에 학교도 1년간 휴학을 하고 '힐링페이퍼'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만성질환자 케어 어플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작년 말에는 이스라엘의 스타트업 큐어닷엠디와 MOU를 체결하여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당뇨환자들을 위한 모바일 헬스 케어 어플 출시를 함께 준비하고 있습니다.

Q. '힐링페이퍼'라는 회사 이름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A. '페이퍼'는 '기록'의 의미를 담고 있어요. 의료기록의 연장을 의미합니다. '힐링'은 만성질환자 대상 앱을 만드는 만큼, '치료', 'cure'와 같은 단어보다는 '힐링'이 어울린다는 생각에 붙이게 되었네요.

Q. 구체적으로 어떤 앱들이 만들어졌는지.
A. 여러 가지를 도전해봤는데요. 우선 유방암환자, 갑상선 질환자, 공황장애 환자들을 위한 앱들을 출시했었고 지금은 당뇨환자들을 위한 앱을 만들고 있어요. 앱의 기능들로는 약물 복용 시간 알람, 혈당과 혈압수치 기록지, GPS track과 연동하여 정확한 운동량 기록, 약물의 대표적 부작용을 선별하여 아이콘을 만든 후 그 부작용 중 하나가 나타났을 시 선택하는 기능, 그리고 환자들의 커뮤니티 공간, 이러한 기능들이 있어요. 포털사이트의 환우회 까페에 들어가 보면 그날 먹은 식단이나 그날 한 운동의 운동량, 운동 거리 같은 것을 올려서 공유하는 환자분들이 많아요. 그래서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기능을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압축시켜 놓은 것과 같다고 보시면 되요.

Q. 사업 시작 후에 어려운 점은 없는지.
A. 사실 방금 말씀드린 유방암, 갑상선 질환, 공황장애 환자들을 위한 앱들이 아직 모바일 헬스 케어 앱을 사용하는 환자들의 풀이 적어서인지 반응이 크게 와 닿진 않았어요. 그렇게 되다 보니 수익창출에 있어서 애로사항이 생기게 되고 창업 아이템들을 구상할 때는 생각하지 못했던 난관에 부딪히게 됐죠.

Q. 난관을 극복하는 방안은?
A. 초기 창업 기업이 연구개발(R&D)에 성공한 후에도 자금 부족 등으로 인해 사업화에 실패하는 기간을 데스 밸리(death valley)라고 하는데요. 그 데스밸리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캐시 카우(cash cow)가 필요해요. 즉 확실히 돈벌이가 되는 상품이나 사업이 없어서는 안 될 존재죠. 그래서 저희도 회사를 유지하고 저희의 궁극적인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그러한 목적의 캐시 카우 출시를 또 따로 앞두고 있어요.

Q. 의대생의 신분으로 CEO를 하는 것의 가장 큰 장점은?
A. 앱을 개발하기 위해서 환자분들 이야기도 많이 듣고 교수님들도 많이 만났어요. 제가 의대생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부분이 여기라고 생각합니다. 양쪽 모두에서 굉장히 협조적인 태도를 보여주셨어요. 교수님들로부터는 의학적인 내용, 예를 들자면 약물의 부작용 중에서 어떤 것들을 선정해서 기록할 수 있게 할 것인지, 에 대한 자문을 받았고 환자분들을 만나서는 그분들의 니즈를 자세히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Q. 회사의 궁극적인 목표란?
A. 이것 또한 가장 먼저 문제 제기를 하면서 생각했던 궁극적인 목표인데 저희가 만든 앱으로 매일 건강관리를 하고 이러한 PHR(Personal Health Care), 즉 개인건강기록을 병원 EMR과 연동하는 것이죠. 그러면 전국 어느 병원을 가도 무의미한 시간 낭비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환자 파악을 정확하고 빠르게 할 수 있게 되죠. 그렇게 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여러 산들이 있지만 문제를 제기하고 풀어나가는 것을 반복하다 보면 가능해질 날이 오지 않을까요.

Q. 마지막으로 의대생들에게 한마디.
A. 저는 지금 국가고시 시험을 앞두고 있는데 시험을 치고 나서도 전문의 과정을 밟는 것보다는 지금 하고 있는 사업들을 계속해서 하고 싶습니다. 여러분들도 창의력을 가지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논의를 하고 실행력을 가지고 몸으로 뛴다면 모두가 실현 가능한 일들입니다.

이선민 기자/을지 <god0763@e-mednews.com>

글로벌 시대의 의대생, 제2외국어에 도전해보자!
- 숨은 고수들이 말해 주는 입문자 가이드


의대생에게 영어는 더 이상 외국어라 할 수 없다. 혹자가 의대 수업은 토씨만 빼고 다 영어로 한다고 평했을 정도로 의학 공부에서 영어의 비중은 더 논할 필요가 없다. 물론 외국인과 대화하는 것은 언제나 고역이지만, 최소한 의대생이라면 영어로 된 페이퍼 정도는 읽는 시늉이라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남들과 하나라도 달라야 살아남는 글로벌 시대에 새로운 '외국어'에 도전해 보는 것은 신의 한 수일지도 모르겠다. 여기서는 사람들이 많이 도전하는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일본어 : 자막 없이 일본 애니메이션에 도전
일본 문화나 애니메이션에 관심이 많다면 일본어에 도전해보자. 한국어 사용자에게 일본어는 익히기 가장 쉬운 언어 중 하나이다. 조사를 사용하고 주어-목적어-동사 순서로 문장을 구성하는 등 우리말과 뼈대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장의 기본 구조를 익히고 나면 일본 드라마나 영화, 애니메이션 등 자막이 깔린 동영상을 보면서 용법과 어휘력을 무제한으로 불릴 수 있다. 일본어는 교재도 다양하게 출판되어 있고 학원 강의도 많기 때문에 진입 장벽도 낮은 편이다. 한 도전자에 의하면 다락원에서 나온 책이 좋다고 한다.
일본어는 히라가나와 가타가나를 외우다가 포기하는 사람이 70%이고, 그 중 동사변형을 외우다가 포기하는 사람이 70%라는 말이 있다. 우리에게는 낯선 문자 체계를 사용하므로 일본어를 처음 시작할 때는 지겹더라도 진득하게 가나를 공부할 각오를 다지는 게 좋겠다. a,b,c 도 모르면서 영어를 공부하겠다고 덤비는게 어불성설인것을 생각해보면 금방 이해할 것이다.
그렇게 기본을 익혔으면 JLPT 대비용 문제집을 사서 공부의 깊이를 늘려가 보자. JLPT는 생활 일본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JPT는 신문 사설이나 뉴스 등 한자어가 많고 딱딱한 내용을 많이 다룬다. 대부분의 의대생이라면 JLPT가 도전해보기에 여러 모로 유리할 것이다. JLPT는 N1급부터 N5급(N1이 제일 고등급)까지 있고 N1이나 N2급 정도에 도전하는 게 좋다고 한다. 시험은 연 2회 치러지며 응시료는 N1~N3 4만 5000원이다.

중국어 : 날로 커 가는 중국 시장을 바라보며
세계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서 중국어의 필요성을 더 강조할 필요는 없겠다. 중국어는 일본어에 이어 교재가 다양하고 학원도 많아 역시 접근성이 높은 제2외국어이다. 다만 중국어는 성조가 있어 발음이 까다롭기 때문에 처음 시작할 때 제대로 된 발음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글로만 공부하지 말고 유튜브 등에서 원어민 방송을 자주 들으며 따라해 보자. 4개의 성조를 구별하여 발음하는것이 처음에는 힘들겠지만, 한바탕 중국어 연습을 하고 나면 노래를 부르거나 친구들과 오랜시간 폭풍수다를 떨었을 때 느껴지는 후련함(?)이 느껴질 수 있다고 한다.
또 엄격한 문법에 얽매일 필요가 없는 것이 중국어의 특징이다. 중국어를 배우다보면 중국인들은 '자기가 하고 싶은대로' 말한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그것이 중국어와 잘 맞는 사람에게는 쉽게 문장을 만들어 말을 할 수 있는 장점으로,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는 뭐라고 문장을 만들어야 하는 건지 헷갈리게 하는 단점으로 다가올 것이다. 중국어와 잘 맞아서 감을 금방 잡는 사람이라면 독학으로도 잘 배울 수 있는 언어라고 생각한다.
조금 더 확실히 중국어를 공부하고 싶다면 HSK 시험을 준비해보자. HSK는 한어수평고시로 중국에서 유일하게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어학시험이다. HSK시험은 1급부터 6급까지 있으며, 6급이 가장 높은 등급이다. 처음 도전하는 의대생이라면 4급 정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겠다. 시험은 매달 있으며 응시료는 4급은 5만원, 5급은 7만 5000원, 6급은 8만 5천원이다.

프랑스어 : 우리 시대의 낭만주의자가 되고 싶다면
낭만주의가 유일한 이유는 아니다. 프랑스어는 유럽 연합에서 영어 다음으로 사용 빈도가 높고, 유엔 공용어 중 하나이기도 하다. 유럽 외에도 캐나다,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세네갈, 토고, 카메룬 등 여러 국가에서도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야심찬 낭만주의자에게는 적격인 언어이다. 국경 없는 의사회처럼 국제 활동을 생각하고 있다면 영어만큼이나 중요한 언어가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낭만주의자들이 배고픈 만큼이나 공부 여건은 좋지 못하다. 일본어나 중국어와 다르게 프랑스어 교재와 학원은 매우 열악하다. 한 도전자는 독학할 만한 좋은 교재가 없다며 프랑스어 공부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그렇다면 프랑스어는 이대로 멀어지는 것일까? 답이 없지는 않다. 모국에 대한 자부심이 가득한 프랑스인들이 세계 곳곳에 세운 '알리앙스 프랑세즈'(프랑스 문화원)이 괜찮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알리앙스 프랑세즈는 서울에는 강남, 회현 2곳이 있고, 인천, 대전, 전주, 광주, 대구, 부산에 각 1곳씩 있다. 여기서 진행되는 프랑스어 강좌에서 생각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원어민 선생님들과 만나볼 수 있다. 프랑스어 a,b,c,d 부터 시작하는 정도의 초급반이 아니라면 수업시간에는 프랑스어만 쓰는 것이 원칙이라 처음에는 힘들 수 있으나 그만큼 큰 실력향상을 이룰 수 있기도 하다. 프랑스어는 유려한 발음이 큰 매력인 언어이므로 되도록 원어민 선생님을 만나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프랑스어 문법도 복잡하기로 유명하므로 혼자서 낑낑대기보다는 훌륭한 선생님을 만나는 것이 중요하겠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프랑스어 자격증을 따고 싶다면 DELF에 도전해보자. DELF는 알리앙스 프랑세즈에서 주최하는 시험으로 A1, A2, B1, B2, C1, C2의 6가지 급수가 있으며 A2부터 도전하는 게 적절하겠다. 연 1회 치러지고 응시료는 A1 10만원, A2 12만원, B1 15만원, B2 18만원, C1 25만원, C2 26.5만원으로 저렴하지는 않으니 주의하자.

스페인어 : 타코 소스에 중남미가 끌리기 시작했다면
스페인어는 발음이 비교적 쉬운 언어다. 초반부터 단어를 충실히 소리 내 발음하며 외운다면, 처음 보는 단어라도 자신 있게 발음해낼 수 있다. 물론 발음이 쉽다고 자주 소리 내어 읽지 않으면 억양을 놓치기 쉬우므로 주의. 간단한 문장을 익힐 때부터 영어의 문법과 비교하며 공부해보자. 영어와 여러 모로 유사한 점이 많아 금방 문법을 익힐 수 있다. 다만 어려운 점이라면 스페인어에는 동사 변화가 많다는 점이다. 규칙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불규칙한 동사변화는 자주 쓰면서 익히는 수밖에 없다.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가 다르듯, 발음이나 어휘는 크게 중남미와 스페인이 다르고, 그 안에서도 지역마다 다른 점이 있다. 쉽게 구할 수 있는 교재에서 다루는 스페인어는 보통 스페인 본토의 스페인어지만, 본토의 스페인어를 배웠다고 해서 중남미 스페인어를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것은 아니므로, 걱정말고 공부를 시작해도 되겠다.
스페인어는 비교적 시중의 교재만으로도 배우기 용이한 편이지만, 스페인어만 알면 허전할 수 있기 때문에 스페인 문화를 같이 접하고 싶은 사람은 대구나 용인에 있는 문화원을 통하는 것도 좋다. 조금 더 깊이 공부하려면 스페인문화원에서 주관하는 DELE 자격증 시험에 응시하는 것도 좋다. DELE는 연 5회 치러지며, 급수는 프랑스어처럼 6급수가 있고 응시료는 A1 15만, A2 19.5만, B1 22.5만, B2 25만, C1 27만, C2 29만(환율에 따라 변동)원이다.

허기영 기자/서울 <zealot648@e-mednews.org>

'101호 > 의대의대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대생도 창업할 수 있다, 없다?  (0) 2015.05.02
알고 하자, 정보 검색!  (0) 2015.05.02

알고 하자, 정보 검색!

101호/의대의대생 2015. 5. 2. 10:48 Posted by mednews

알고 하자, 정보 검색!

Step 1. 올바른 번지수 찾기

의학에 입문한지 얼마 안 되어 과제수행시 해리슨을 뒤적이느라 팔이 아픈 학우들을 위해, 혹은 검색이 서툴러 되는대로 구글에 단어부터 치는 초짜를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의학 사이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의학 검색 101 - 의학용어 검색부터

가장 기초가 되는 의학용어를 찾기 위한 사이트로 KMLE가 있다(kmle.co.kr). 의학공부를 시작한 사람들이라면 모두들 들어봤음직한 이 사이트는 의대생 신문에서 개발자와의 인터뷰도 진행하여 소개한 바 있다. 최근 모바일 사이트가 개설되어 편리성이 배가되었다. 대한의학회에서도 의학용어에 대한 검색을 제공하는데, 의학용어집, 필수의학용어집, 표준 등을 모두 표기하고 있으므로 올바른 단어를 찾는데 더욱 편리하다(kams.or.kr).

 

있어 보이는 reference를 위해 - 논문과 진료지침 검색

연구논문 및 저널을 찾기 위해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사이트로는 pubmed가 있다. 미국의 NCBI에서 개발한 데이터베이스로 2천 4백만개 이상의 서지정보를 지니며 1천 4백만개 이상의 원문 제공을 하고 있다. 만약 세계적인 의학저널지를 통해서만 검색하고 싶다면 impact factor가 높은 LANCET이나 NEJM(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과 같은 저널의 사이트를 직접 이용해도 좋다. 우리나라의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NDSL)에서도 우리나라 저널 뿐 아니라 해외학술저널까지 폭넓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scholar.nsdl.kr). 웹상에서 볼 수 있는 초록과 원문은 pubmed보다 적다고 느껴질지 몰라도 원문복사신청 서비스가 있어 따로 저널에 가입하거나 논문을 구매하지 않아도 원문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무를 접하는 의학우들에게는 임상진료지침의 활용이 큰 힘이 될 수 있다. 우선 미국에서 제공하는 National Guideline Clearinghouse (NGC)의 경우 미국의사협회와 AHRQ가 근거에 기초한 임상진료지침과 관련 문헌의 포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한다(guideline.gov). 아쉽게도 AHRQ가 NIH와 연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합의안을 제안하였던 Consensus Developmental Program은 작년으로 종료되어 과거의 합의안만 온라인 아카이브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consensus.nih.gov/ previous.htm). 이제 그 업무는 분산되었으므로,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나 Instituete of Medicine 등을 통해 검색하는 편이 좋겠다.

 

교과서에서 한 걸음 더

의료기술평가기구로서는 대표적으로 INAHTA(International Network of Agencies for Health Technology Assessment)가 있다(inahta.org). 29개국 53개 기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의료기기를 사용할 때의 방법, 효용성, 안전성 등을 평가하여 합의안을 제시하고 있다. Publications란에 의료기술평가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으며, Members list란은 각국의 의료기술평가기구가 링크되어 있으니 특정 나라의 사이트가 필요하다면 그것도 참고할 만하다.

약제관련 사이트로는 미국의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영국의 BNF(British National Formul-ation), 뉴질랜드의 PHARMAC (Pharmaceutical Management Agency), 호주의 NPS(National Prescribint Service Limited)의 기관들을 참고하면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약처에서 분야별정보의 의약품란으로 접속하면 의약품 정보 및 안전성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 외 보건의료단체 및 기구의 사이트에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WHO는 세계적으로 보건에 위협이 되는 모든 주제를 다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사이트에 실린 정보의 양도 방대하다. 통계 데이터, 문제에 대한 합의, 지침이 되는 보고서, 개선을 위한 캠페인 등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who.int).

 

우리말 자료에 목말랐던 학생들에게

미국의 cdc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곳으로 질병관리본부가 있는데, 예방접종, 감염병, 결핵관리 및 희귀 난치성질환관리, 장기기증 및 이식관리 등 우리나라에서 중점이 되는 보건사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cdc.go.kr). 보건복지부는 WHO의 한국 버젼 정도라고 보면 되는데(health.mw.go.kr), 건강/질병, 증상/증후, 약품/식품, 장애/재활 등 범주가 환자 중심적으로 분류되는 장점이 있다. 환자 중심의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또 있으니, 모두들 한번쯤 접해보았을 네이버이다. 네이버에서 질병을 검색하면 서울대병원과 연계하여 제공하는 의학정보가 가장 상단에 뜨곤 한다. 건강부분 서비스에서 약품의 효능 및 주의사항 등 일반 정보는 물론 약의 외형만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 모든 사이트를 모두 머릿속에 넣고 다닐 수 없다면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사이트를 기억하자(hira.or.kr). 정보> 건강·의학정보> 의학정보사이트란에 신뢰할 만한 의학사이트가 총망라 되어있다. 전문분과별 사이트도 제공하고 있으니, 초보 실무자에게는 반가운 가이드와 같은 페이지일 것이다. 단 사이트의 성격을 잘 몰라 어떤 정보를 어느 사이트에서 찾겠다는 구체적인 전략이 없으면 다소 어려울 수 있다.

 

Step 2. 검색어를 고급스럽게

사구체 질병에 관한 과제를 하기 위해 본과 1학년생인 박검색 군은 네이버에 '사구체 질병'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했다. 결과는 건강 블로그, 미필자들의 카페에 올라온 단백뇨 상담글, 몇 줄 되지도 않는 지식백과, 건강 뉴스, 지식iN 질문글... 공부에 필요한 자세하고 전문적인 지식은 찾기 어려웠다.

정보 검색이라면 구글을 최고로 치는 김구글 군의 여정도 순탄하지는 않았다. 자료가 너무 많은 것도 문제여서 넘쳐나는 자료들 속에서 과제에 정말 필요한 내용을 찾느라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큰따옴표와 띄어쓰기를 아는가

검색을 했는데 내가 원했던 결과가 나오지 않아서 답답한 경우가 있었을 것이다. 이럴 경우 검색엔진이 조금 더 똑똑하길 바라는 것보다 큰따옴표를 넣은 검색을 해보는 것이 좋다. 검색어에 큰따옴표를 넣으면 해당 검색어를 '그대로'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자기가 넣은 검색어가 무시되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또한 검색어의 구분은 띄어쓰기를 통해 하기 때문에 "사구체신염" "review"라고 입력할 경우 사구체신염과 review라는 단어가 모두 들어있는 페이지만을 보여준다.

 

나에게 필요한 파일의 확장자

대체로 대학생 수준에서 필요한 학술 자료는 pdf나 ppt의 확장자 파일인 경우로 검색되는 경우가 많다. 검색어를 'central dogma'로 했을 경우보다 'central dogma pdf'라고 검색했을 때, 보다 정리되고 압축된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사이트 내 검색

특정 사이트 내에 많은 정보가 있는 것은 알고 있으나 사람의 힘으로 그걸 다 열람하기엔 어려울 때 site라는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mebranous glomerulonephritis" site:www.mayoclinic.org 이와 같이 검색어를 넣으면 mayoclinic 사이트 내에서만 검색 결과를 보여주게 된다.

 

구글 이미지 검색 : 도표

기나긴 줄글보다 때로는 도표나 flow chart가 더 이해가 쉬울 수가 있다. 이런 자료는 통합검색보다는 이미지 검색을 통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주요 논문이나 교재, 학술자료 등에 첨부된 이미지들을 한 번에 모아볼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자신이 원하는 자료를 구할 수 있다.

 

유료 논문을 무료로!

검색을 하다보면 논문이나 유료결제가 필요한 학술자료의 열람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학교도서관의 '교외접속' 서비스를 이용하면 대부분의 자료를 열람, 다운로드할 수 있다. 대학에서 이미 대부분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할 수 있게 협약을 맺어놓았기 때문이다. 이용방법은 자신의 학교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한 후 '교외접속'을 찾으면 된다. 보이지 않을 경우 보통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site map'을 눌러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김현준 기자/중앙 <ctp@e-mednews.com>

박한울 기자/중앙 <hanulpark@e-med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