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rss 아이콘 이미지

>>> 최신논문

 

오메가3, 심장병 뇌졸중에 효과 없다

 

오메가3지방산을 장기복용해도 심혈관질환이나 뇌졸중을 예방할 수는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리스 이오안니나 대학병원팀이 오메가3지방산 보충제를 투여한 7만 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오메가3 투여군에서 사망률, 심장질환 발병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아 환자들에게 오메가3지방산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의문이 든다.”는 연구결과를 미국의학협회지(JAMA)에 발표했다. 미국 터프츠의대 예방심장학과 리처드 캐러스 교수는 “오메가3지방산은 연어, 정어리, 청어 등 자연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제약사들이 정제형태로 내놓는 제품을 일부러 섭취하는 것은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오메가3지방산 보충제가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퍼져 있지만 실제로 효과가 의학적으로 입증된 것은 아니다. FDA도 오메가3지방산 보충제를 췌장염 환자에 국한해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는 용도로만 승인했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모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인 37만명 심전도 결과 공개

 

최근 아주대 의대 박래웅 의료정보학과 교수팀이 한국인 37만명의 심전도 결과와 임상자료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공개했다. 심전도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세계 최초이다. 연구팀은 1994~2011년 17년 간 아주대병원에서 진료 받은 환자 및 정상인 37만 명의 심전도 데이터 71만개와 성별, 나이, 심전도 측정 전후 발생한 질환, 약 처방 정보 3700만개 등을 모아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임상약학 및 치료학지(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최신호에 발표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인의 정상 심장계측치를 구하거나 특정 약물이 심장 부정맥을 유발하는지 여부를 가리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크게는 정보통신, 체육 등 다양한 분야 연구 자료로도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피부세포로 망막세포 만들어

 

인간피부세포를 역분화시켜 만든 유도만능줄기세포(iPS)로 망막세포를 만들어 망막질환을 치료하는 동물실험이 성공을 거뒀다. 미국 컬럼비아대 스티븐 창 안과·세포생물학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기증자의 피부세포를 iPS로 환원시킨 후 이를 성장인자들이 섞인 배양액에 넣어 망막세포로 분화시켰다. 이후 분화시킨 망막세포를 유전조작방법으로 망막세포가 퇴화돼 시력을 잃은 쥐 34마리의 오른쪽 눈에 주입했다. 그 결과 주입된 망막세포가 쥐의 망막에 생착하면서 정상적인 망막세포로 기능하는 것이 관찰됐다. 이런 기능은 쥐가 늙을 때까지 유지됐다. 연구팀은 “망막세포가 죽으면서 광수용체세포가 퇴화돼 서서히 시력을 잃는 것이 대표적인 실명질환인 황반변성과 색소성망막염이다. 앞으로 이 연구결과를 잘 발전시키면 3년 안에 황반변성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보건의료계 이슈
 
가정상비약 편의점 판매 앞두고 대책 본격화

 

최근 보건복지부는 오는 11월15일부터 시행될 감기약·소화제 등의 편의점 판매에 대비해 판매자 교육 등 준비 작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대한약사회가 주관하는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자 교육은 이달 중 16개 지역 28개 장소에서 47차례간 이뤄진다. 복지부는 제약회사의 의견을 수렴해 가정상비약의 포장단위도 정했다. 타이레놀 160㎎은 8정, 훼스탈플러스는 6정이 최소 포장 단위다. 복지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청과 제약사 등과 협의해 겉포장 표시사항도 보다 눈에 잘 띄고 읽기 쉬운 표현으로 고치도록 했다. 식약청과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은 부작용 신고센터도 설치, 운영한다. 소비자는 이 센터를 통해 가정상비약 뿐 아니라 모든 의약품과 관련된 문제를 알리고 상담할 수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11월 15일까지 제약 및 유통업계와 진행 상황을 점검하며 가정상비약의 약국외 판매를 차질 없이 준비할 것”이라며 “편의점 판매로 심야나 휴일에 약 구입이 보다 쉬워지는 만큼 소비자 스스로 포장과 설명서 내용을 확인해 용법, 용량, 주의사항 등을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의료기관 건강검진 부당청구 올해만 12만 건

 

의료기관이 건강검진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비용을 허위로 청구해 건강검진 부당청구로 적발되는 건수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현숙 의원(새누리당)은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2009년부터 2012년 6월까지 81만 8267건이 건강검진 부당청구로 적발됐으며, 환수결정액은 187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병원 규모별로는 의원급이 50만 2727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병원급이 24만 5730건, 종합병원급이 3만 1986건, 보건기관이 8752건 순이었다. 김 의원은 “건강검진 부당청구 적발 건수가 2011년 449건, 2012년 7959건, 올해 81만여 건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적발 유형별로는 의사와 간호사 등 인력기준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8만 9901건으로 가장 많았고, 건강검진비를 허위·이중청구한 경우가 11만4149건으로 뒤를 이었다.

 

국내 유통 인체조직 중 24%만 ‘순수 국산’

 

인체조직의 수입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국내 140개 인체조직은행이 제출한 수입·생산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내 유통된 인체조직 제품 27만 1707개 가운데 원료조달부터 가공까지 국내서 이뤄진 ‘순수 국산’은 24%뿐이었다고 밝혔다.
주요 수입국은 미국과 독일로, 각각 92%와 7.5%를 차지했다. 제품 종류는 뼈가 19만 8818개(73%)로 가장 많았고 피부가 3만 5170개(13%), 양막이 1만 6999개(6.3%)로 뒤를 이었다. 식약청 관계자는 “최근 장기기증자가 늘고는 있지만 국내 수요를 충당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 수입 인체조직의 경우 원료 조직이 감염질환에 오염되는 등 안전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7월 일본 언론은 우크라이나 등 동구권 국가에서 불법으로 취득한 인체조직이 다른 나라에서 가공, 유통되고 있으며 수입량이 많은 한국의 피해가 우려된다고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를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홍유미 기자/전북 <hym@e-mednew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