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rss 아이콘 이미지




 

제중원, 한국의료의 역사

한국 최초의 근대의료기관이자 의학교육의 장

 제중원의 1대 원장 알렌이 의학도 황정에게 묻는다. “만약 앞에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이 있다면 누구를 먼저 치료할 건가요?” 황정이 대답한다. “더 아픈사람을 먼저 치료하겠습니다.” “좋은 사람과 낮은 사람이 있다면요?” “그 또한 더 아픈사람을 먼저 치료하겠습니다.” 최근 TV에서 방영중인 드라마 ‘제중원’에 나오는 장면이다. 이 드라마가 인기를 얻으면서 구한말 이루어진 한국의료의 시초인 제중원이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다.

제중원의 시작과 발전

 한국에서 서양식 의료기술의 본격적 도입은 국립의료기관인 광혜원(廣惠院, House of Extended Grace)에서 이루어졌다. 광혜원은 미국 선교사인 호러스 알렌(Horace N. Allen) 고종의 윤허를 받아 1885년 2월 29일 서울 재동에 설립한 한국 최초의 근대식 병원이다. 광혜원의 설립에는 당시 구한말의 역사적 배경이 관련되어 있다. 1884년 9월 미국 북장로회의 의료선교사로 조선에 들어와 활동하던 알렌은 갑신정변 때 칼을 맞아 중상을 입은 민영익(閔泳翊)을 치료해 생명을 구해주었다. 서양의학의 효과를 입증한 이 일을 계기로 조선에서는 서양 의술이 폭발적인 관심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고종의 총애를 받게 되었다. 곧이어 왕실부 시의관으로 임명된 그는 고종에게 근대식 병원을 설립할 것을 건의하였고, 고종이 이를 윤허하여 설립된 것이 광혜원이다. ‘광혜’는 ‘널리 은혜를 베푼다’는 뜻으로서 일반 백성의 질병을 치료하는 일을 담당하였으며, 한국 최초의 서양식 국립의료기관으로 기록된다.
 같은 해 3월 12일 광혜원은 더 많은 백성들에게 널리 혜택을 주자는 취지 아래 제중원(濟衆院, House of Uni-versal Helpfulness)으로 이름을 바꾼 후, 왕실에서부터 평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들을 진료하는 기관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초기의 제중원은 정부와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가 동시에 책임을 맡고 있었는데 전자는 재정지원과 행정을, 후자는 의사와 간호사의 파견 및 진료, 병원 운영 등을 담당하였다. 개원 첫해에만 10,000여명의 환자를 진료할 정도로 당시 서양의학에 몰리는 백성들의 관심은 엄청났고, 보다 많은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 제중원은 1887년 구리개(현재 을지로 부근)로 이전, 병원의 규모를 확대했다. 뿐만 아니라 당시 상대적으로 열악했던 여성 의료를 개선하기 위해 1886년 부인부(婦人部)를 신설하고 미국에서 파견된 여의사인 애니 엘러스(Annie J. Ellers)가 치료를 담당하였다.
 초대 원장이었던 알렌 이후 제중원의 운영이 헤론(J. W. Heron), 빈튼(C. C. Vinton) 등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체계가 해이해지면서 병원의 운영은 난관을 겪게 된다. 1893년 7월, 새로 부임한 에비슨(Oliver R. Avison)은 정부에 제중원의 정상화를 위한 요구 조건을 내걸었고, 마침 운영비를 부담할 여력이 없었던 정부는 1894년 갑오개혁 때 제중원의 운영권을 미국 북장로회 선교부로 넘기게 되었다. 이때부터 제중원은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는 완전한 사립기관이 된다. 1900년 에비슨은 미국의 부호 세브란스(L. H. Severance)에게서 병원설립기금 45,000달러를 기부받아 1904년 남대문 밖 복숭아골(현재 서울역 맞은편)에 병원을 세우고 제중원 대신 기증자의 이름을 딴 세브란스병원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현재 세브란스병원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속으로 남아 그 전통을 유지해오고 있다.

의료기관으로서의 제중원

 제중원은 서양의 근대의학을 기초로 한 의술을 최초로 펼쳐 조선인의 건강을 위해 큰 공헌을 하였다. 왕실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도 진료함으로써 온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켰고, 1895년 우리나라에 콜레라가 유행했을 때 제중원은 방역의 총책임자로서 직원들과 함께 방역과 환자 치료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 당시로서는 생소하던 치과 진료를 진행하고, 형편이 어려워 치료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은 무료로 진료해주어 지위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게 의술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제중원에서 진료를 받는 환자들의 절반 이상이 무료로 치료받는 사람들이었다는 것이 이를 입증한다.

교육기관으로서의 제중원

 제중원은 조선에서 단순히 진료뿐만 아니라 근대의학교육의 시초를 열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지니고 있다. 제중원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자 알렌은 예전부터 계획한 대로 조선 내 의료진 양성을 위해 의학교육을 추진하였고, 1886년 3월 29일 한국 최초의 서양의학교육 기관인 제중원의학교가 문을 열었다. 첫 해에 학생 16명을 선발하였고 이 중 12명이 본과에 진급하였는데, 이를 한국 근대 의학 교육의 시초로 본다. 제중원의학교는 후에 세브란스의학교로 명칭을 바꾸고 1908년 7명의 1기 졸업생을 배출하였는데, 드라마 ‘제중원’의 주인공 황정의 실존인물인 박서양도 그 중 한명이다. 제중원의 의학 교육은 4대 원장인 에비슨의 재임 시절 전성기를 맞이하여 이때 의학 교육의 체계를 다시 세우고, 해부학을 비롯한 다양한 의학 교과서를 한글로 번역해 출판하였다.
 이처럼 제중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의료기관으로서 큰 역할을 하였다. 서양의학의 불모지였던 조선에 처음으로 근대의학을 도입하여 왕족뿐만 아니라 의료의 변방지역에 있던 백성들에게도 진료를 베품으로써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였다. 또 체계적인 근대의학교육을 시작함으로써 한국에 서양의학이 전파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첫 문단에서 언급한 드라마의 장면은 당시 제중원이 지위나 조건에 영향받지 않는 평등한 진료를 최우선으로 활동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장면에서 알렌 원장은 곧이어 황정에게 이와 같이 말한다. “내가 원하는 것은 한가지에요. 의원은 환자를 거부해서는 안돼요. 그게 바로 의원의 처음이고 끝입니다.” 이 대사에서 제중원이 당시 어떠한 곳이었는지, 이곳의 의사들이 어떤 마음으로 환자들을 대하였는지 알 수 있다.


문서영 수습기자/을지
<celeste@e-med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