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가 독자에게
미시적인 삶
시행사 직원은 회사의 손실을 최소화하려고 용역 직원에게 독촉 전화를 걸었겠지. 용역 직원은 철거민들에게 연민이 생겼을지도 몰라. 하지만 일단 일을 어서 끝마치고 싶었을 거다. 철거민들은 보상받지 못한 권리금이 아까워서, 혹은 정말 이 엄동설한에 길바닥에 나 안게 생겨서 옥상에 올라갔다. 하지만 망루 안에서 무서웠을거야, 아마. 물대포를 쏘고 특공대가 투입된 상황에서 생존이외의 다른 명제가 떠오를 사람이 있을까. 그래서 화염병이든, 새총이든, 골프공이든 던졌을 거다. 특공대원도 상명하달의 위계질서에 복종하는 구조 안의 무력한 개인이었을 뿐. 진압작전을 하면서 반정부 세력 소탕과 불법집회에 맡서 법을 수호한다는 자부심을 과연 느꼈을까. 아니다, 아니다. 검찰 수사관들은 어떨까. 상부의 압력이 없었어도 스스로 자기검열을 할 수밖에 없었다. 수사결과는 나와야 하는 대로 나왔고, 이들은 조직의 기대에 충실했다.
그렇게 이들은 미시적 삶을 살았다. 적어도 자신은 편했고 주변 동료들에게는 무난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들은 자신을 둘러싼 작은 사회가 던지는 기대에 충실했다. 하지만 이들의 미시적 삶이 부딪혀 만들어낸 하모니는 어떤가. 6명의 안타까운 사망은 둘째치더라도, 언젠간 역사책의 한 귀퉁이에서 치부로 평가받을 사건이 탄생했다. 한 명이라도 거시적 시각을 가졌더라면. 역사라는 담론까지 가진 못하더라도 내가 속한 더 넓은 사회를 한번쯤 생각했더라면, 과연 결과는 달라졌을까.
미시적 삶을 떠나긴 쉽지 않다. 자신이 속한 집단의 행동이 때론 정의롭지 못하다는 것을 안다. 그럼에도 침묵한다. 정으로 묶인 관계의 고리를 끊기엔 미시적 삶의 유혹은 거시적 대의보다 강하다. 사람들은 타협이라는 이름으로, '둥글둥글하다'는 미사여구로 미시적 삶을 축복한다. 다른 생각을 하려하면 '모났다'는 말을 듣기 십상이다. 그렇게 우리는 피곤한 철학자 보다는 행복한 바보가 되기로 선택한다.
가끔은 고민에 시름시름 앓던 어린 시절이 그리워지기도 한다. 안타깝게도 나이가 들수록 그 고민들이 뭐였는지 기억이 나질 않는다. ‘지금 알고 있던 걸 그때에도 알았었더라면’ 이제는 식상해진 시 구절. 하지만 이제와 생각하니 그 구절은 바뀌어야 한다. 지금 알고 있던 걸, 그때에는 몰랐어야만 한다.
이예나 / 순천향
med-news@hanmail.net
편집장이 되고 난 후 축하한다는 말과, 걱정하는 말을 참 많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왜 편집장이 되고 싶었냐고 물어보진 않더군요. 누구도 묻지 않았던 질문과 답을 혼자 해볼게요. 제가 왜 편집장을 하게 되었을까요. 전 '편집자가 독자에게'를 참 써보고 싶었습니다. 내 이야기가 자리잡을 손바닥만한 공간이 있기를 소망했습니다. 제게 펼쳐질 일 년간의 성장통은 모두 이 손바닥만한 공간을 갖기 위함이라 생각하고 끌어안을게요. 홀로 던져진 세상에 내 이야기를 풀어낼 공간이 있다는 건 얼마나 큰 위안인가요. 그 위안도 기쁨도 고민도 모두 감내하겠습니다.
'67호 > 오피니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7호] 테디의 의대정복 (0) | 2009.07.18 |
---|---|
[67호 기자수첩] 첫 느낌 - 유영재 기자 (0) | 2009.07.18 |
[67호] 태연도 알기 힘든 의료법 (0) | 200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