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rss 아이콘 이미지

첨단의료기술, 축복인가 재앙인가

▲ 프렌드 박사팀이 개발한 마이크로 혈관 로봇 설계도

 새로운 핸드폰이 나오면 그것에 적응해야 하듯 앞으로는 매일 쏟아져 나오는 첨단의료기술들을 배우고 적응하는데 정신이 없을지도 모른다. 과거에는 몇 가지에 불과했던 암표지자나 혈액검사 항목들이 수백 개로 늘어나 많은 검사결과들을 해석하는데 적잖은 혼란과 당혹감을 느낄 수도 있다. 지금까지 최고의 치료법으로 여겨졌던 방법들이 더 좋은 기술들로 대체되어 현재 교과서에서 배우고 있는 치료법들은 더 이상 어느 곳에서도 시행되지 않을 수 있다.
 현재 좁아진 관상동맥질환의 치료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카테터를 이용한 스텐트 삽입이다. 그러나 이제 곧 스텐트가 아닌 마이크로 로봇이 직접 혈관을 타고 돌아다니며 혈관 속 죽상경화반(athero-sclerosis)을 청소하고 다닐 수도 있다. 공상과학영화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처럼 들릴지도 모르나 이미 지난 1월 20일 호주 모나쉬(Monash)대학 나노물리학 연구실 제임스 프렌드(Friend) 박사팀은 원격조종으로 혈관 속을 누비고 다니며 필요하면 간단한 수술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로봇의 크기는 직경이 약 0.25mm, 머리카락 2~3개 굵기에 불과해 혈관 속을 다니기에 충분히 작다. 이제 막힌 동맥을 뚫기 위한 스텐트 삽입은 주사로 마이크로 로봇을 주입하는 시술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가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앞서 나가고 있는 로봇수술분야도 괄목할 발전을 이루고 있다. 올 4월부터는 3D영화처럼 3차원 입체영상을 보면서 수술이 가능한 수술 시스템이 도입된다. 로봇 종류도 다빈치 이외에 무릎 관절 수술시 뼈를 가공하는 로보닥(ROBODOC), 신경과 척추수술 보조용으로 개발된 벡터비전(Vector Vision), 뇌수술 보조용 로봇인 뉴로메이트(NeuroMate), 안면이나 뇌와 같이 초정밀 위치제어를 할 수 있는 램스(RAMS) 등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환자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비뇨기과나 산부인과 같이 제한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점차 흉부외과, 신경외과, 이비인후과로 그 이용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다. 가까운 미래에 로봇수술이 바다 한가운데, 혹은 산간 오지나 섬마을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이제까지 공간적 제약 때문에 치료 받지 못했던 환자들을 원격진료로 살리는 날이 올 것이다.
더욱 놀라운 기술은 의사의 감각과 노하우를 모방하여 병을 진단하는 ‘인공지능 주치의’의 등장이다. 수많은 진단학적 알고리즘과 인간보다 더 정확한 센서를 통해 병을 감지해내고 진단해내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발명된다면 한 미국의 의료산업 투자 애널리스트가 쓴 책의 제목처럼 지구상에서 의사가 사라질지도 모른다. 실제로 현재 몇 가지 질병들에 대해서는 조기진단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어 환자의 나이와 성별, 주소와 증상, 가지고 있는 위험요인 등을 체크하면 그 질환에 걸릴 확률이 정확히 계산되어 나온다.
 현재의 한국의사는 좁은 의료시장에서 서로 경쟁하고 다투고 있지만, 미래의 한국의사는 다른 나라 의사들뿐만 아니라 어마어마한 첨단기술과 접목된 의료기술과도 경쟁해야만 한다. 첨단의료기술은 분명 미래의 의료에 엄청난 영향을 끼칠 것이 분명하나 현재 우리의 의학교육현장은 이런 최첨단기술이 어떤 식으로 의료계를 변화시킬지에 대해 아무런 교육도 준비도 하고 있지 않다. 지금부터 장차 어떤 모습의 의사가 될 것인지 고민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의사가 원하는 대로 환자를 보는 것이 아니라 기술이 원하는 대로 환자를 보게 되는 의료계의 '디스토피아'가 찾아올지도 모른다.

한혜영 기자/이화
<hang2v01@e-med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