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깨기는 기본, 맛과 멋은 덤. 커피 이야기
시험을 앞두고 교실에서 밤샘공부에 몰두하던 A군. 기지개를 켜다 보니 평소에 마음에 두고 있던 그녀의 모습이 보인다. 그가 박카스를 내밀면 그녀에게 ‘그냥 커피’가 되겠지만 따끈한 커피 한 잔을 내민다면 그는 그녀의 ‘티오피’같은 존재가 되지 않을까. 졸음을 쫓아 줄 뿐 아니라 풍부한 맛과 향, 거기에 멋과 낭만까지 두루 갖춘 커피. 커피가 어떻게 졸음을 쫓아 주는지부터 알아보자.
커피 하면? 카페인!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카페인이다. 카페인은 쓴 맛이 나는 흰색 결정으로 커피 열매 안의 씨앗, 찻잎, 코코아와 콜라 열매, 마테차 나무, 과라나 열매 등에 들어 있다. 식물에서 카페인은 해충을 마비시켜 죽이는 천연 살충제 역할을 한다. 사람이 섭취할 경우 중추신경계와 신진대사를 자극하여 피로를 줄이고 정신을 각성시켜 정신을 맑게 하고 잠을 깨게 하는 것이다. 또한 사고의 흐름이 빠르고 명확해지며 집중력, 지구력도 높아진다.
체내로 유입된 카페인은
어떻게 작용할까
커피를 마시면 카페인은 위와 소장에서 45분 이내에 흡수되어 온 몸의 세포에 도달한다. 따라서 섭취한 지 1시간 정도 지나면 효과를 나타낸다. 카페인의 체내 반감기는 나이, 간 기능, 임신 여부 등에 따라 개인차가 크지만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4.9시간 정도이다. 카페인을 섭취하고 서너 시간이 흐르면 그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8시간 정도 경과하면 체외로 배출된다.
카페인은 뇌 안으로 독소나 세균 등의 침입을 막아주는 혈액뇌관문을 통과할 수 있다. 카페인의 구조는 아데노신의 구조와 매우 비슷해서 뇌에 침투한 카페인은 아데노신의 억제제로 작용하게 된다. 아데노신은 신경의 활성도를 감소시켜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카페인을 섭취하면 뇌혈관의 활성도가 높아지게 된다.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도록
과다 복용은 피해야
카페인을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카페인중독을 초래할 수 있다. 카페인중독은 짜증, 불안, 신경과민, 불면증, 두통, 심장 떨림 등 다양한 증상을 수반한다. 게다가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위궤양이나 식도염을 야기하기도 하고 이뇨작용을 촉진하여 비타민과 칼슘의 흡수를 방해해서 골다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카페인의 하루 권장허용량을 넘기려면 커피를 5잔 넘게 마셔야 하므로 커피만 마실 경우 여간해서는 카페인을 과다 섭취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초콜릿, 콜라나 사이다, 홍차, 아이스크림 등에도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함께 섭취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커피를 마시고 싶어서 커피 전문점이나 편의점에 가 보면 커피의 종류가 너무 많아 무엇을 고를 지 망설이다가 결국 늘 마시던 것을 고르기 일쑤이다. 기자는 본인의 체험 및 커피를 즐기는 주위사람들의 체험을 바탕으로 맛, 가격, 잠깨기 효과 3가지 항목을 최하 1점과 최고 5점 사이에서 평가해 보았다. (주관적 평가이므로 개인마다 효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쮆 자판기 커피 :
쮆 캔커피 :
쮆 컵커피 :
쮆 병커피 :
쮆 전문점 커피 :
문지현 기자/중앙
<jeehyunm@e-mednews.com>
'77호(2010.10.11) > 의대의대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별 각양각색 술 문화 (0) | 2010.10.10 |
---|---|
과학을 연구하는 의사들 (0) | 2010.10.10 |
누구의 지팡이가 의학을 상징하는가 (0) | 2010.10.10 |
국제보건기구 진출을 위한 안내서 (0) | 2010.10.10 |
수(秀)상한 의대생 5회 (1) | 2010.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