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이 된지도 두 달이 지난 3월, 첫 신문으로 인사드립니다.
저는 올해로 본과 3학년이 됩니다.
제게 2014년 3월은 새해 시작의 열기도 식었고, 본과를 시작할 때의 포부와 의욕도 잃어버린 때인 것 같습니다. 새학기, 새로운 시작을 하는 설렘과 흥분 속에 신문을 집어든 분도 계시겠지만 대개는 저와 같은 상태인 분들이 많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만사에 시들해지는 저와 주변 친구들의 모습을 보며 이 모든 것이 ‘적응’의 결과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제 해볼만큼 해보고 알 만큼 아니까, 익숙해져서 그런 것이라구요. 제 친구들 중에서는 심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많았죠.
며칠 전 읽었던 <질병의 탄생>이라는 책의 구절을 소개합니다.
‘실제로 수렵채집인이 농경 생활자보다 더 건강했다는 증거들이 많이 있다. … 농경 생활 이후에 주된 영양 섭취원인 곡물은 칼로리는 제공해 주지만 다양한 식단을 세공해 주지는 못했기 때문에 필수 영양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지는 못했다. 따라서 농경 생활자들은 구루병이나 각기병, 혹은 펠라그라나 괴혈병 등 비타민 결핍으로 생기는 병들을 앓곤 했는데 이러한 병은 수렵채집인에게는 발견되지 않았다. … 영양실조에 의한 치아 에나멜 결손이나 철결핍성빈혈 그리고 감염성 뼈질환이 몇 배 더 많았고 수명 또한 짧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으로 한곳에 정착해서 생활하는 방식 때문에 나병, 결핵, 말라리아 같은 전염성질환에 걸리기도 쉬웠다.’
수렵채집인이 농경생활을 시작하는 것은 역사의 ‘발전’이라고 불리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의 상상 속 수렵채집인의 모습은 흔히 말하는 ‘야만인’의 모습이 아닐까 싶습니다. 사냥을 실패한 날에는 끼니를 굶을 수 밖에 없는 불안정한 생활을 하는 궁핍한 모습이 그려집니다. 동물을 사냥하면서 부상을 당하거나 죽는 경우도 많았겠지요. 그렇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그들이 더 균형잡힌 식사를 하고 있었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인류가 농경생활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안정’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동시에 영양 불균형, 전염병에 대한 노출, 노동력 확보를 위해 더 많은 아이를 낳고 길러야 하는 등의 어려움도 동시에 찾아왔습니다. 우리가 ‘발전’이라고 바라보고 있는 현상이 늘 좋은 결과만을 불러오는 것은 아니었던 거죠.
지금 저의 상황도 이와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2년간의 본과생활 끝에 찾아온 적응, 또는 순응. 조금 근사하게 포장해보자면 성숙. 스스로의 안정을 위해 이루어진 그 과정이 저의 상상력을 아주 좁은 감옥에 몰아넣은 것은 아닐까요? 모든 자극에 무뎌지게 만들어 새로운 자극마저 받아들이지 못하게 사고를 마비시킨 것은 아닐까요? 대학생활을 시작하던 서투른 천둥벌거숭이이던 저는 새로운 영감으로 매일을 이어나갔고, 본과에 진입한 직후 혼란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던 저는 다양하고 건강한 미래를 꿈꾸었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코웃음치게 되는 그 때의 열정과 다짐들이 자신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던 원동력이 아니었나 생각이 듭니다.
개강하고 나니 일상이 잿빛으로 변해버린 것 같은 분들은 대학 새내기이던 자신을 돌아보시면 어떨까요? 손발이 오그라드는 것은 너무 두려워 마시구요.
그 때의 서투름을 너무 꾸짖지만 말고, 당시의 열정과 즐거움을 한 번 더 느껴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문지현 편집장
<editor@e-mednews.com>
'97호 > 오피니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연세의대의 교육개혁이 혁신이 되려면 (0) | 2015.05.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