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의료, 변화와 과제
지역 의료인 양성 유명무실
의사도 환자도 서울로 서울로…
지역 의료의 발전과 의료자원의 균등 분배를 위해 설립된 지방의대와 부속병원. 그러나 더 이상 과거와 같은 소극적인 경영에 머물러서는 살아남기 힘들어지고 있다. 또한, 지방 의대의 설립 목표 중 하나인 지역 의료인 양성마저 유명무실 해지고 있는 실정. 지역 의료계가 딜레마에 빠져있다.
지방 의대 출신들의 ‘탈 지역화’
최근 의대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전국 의대를 대상으로 자신의 점수에 맞춰 공격적인 지원행태를 보인다. 그에 따라 출생지와 입학하는 의대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아졌다. 예를 들어 전남의대나 영남의대 같은 경우 신입생의 30% 정도가 수도권이나 타 지역 출신이다. 이러한 경향은 의전원의 도입으로 수도권 대학 출신 졸업생의 지방 의전원 진학이 늘어나면서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물론 타 지역 출신 학생이 지역 의료에 종사하지 않는다는 법은 없지만, 지방의대 재학생을 해당 지역의 잠재적 의료 인력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러한 탈 지역 현상은 비단 의대진학 뿐만 아니라 전공의 지원이나 개원 시에도 그대로 나타난다. 전국적으로 비인기과 전공의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그나마 해당과를 지원하는 전공의들마저 수도권으로 몰리고 있다. 반면에 상당수의 지역 수련병원 비인기 과들은 모집 인원을 제대로 채우지 못하고 있다. 이는 장기적인 지역 의료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지방 거주자들도 ‘수도권 쏠림’
점점 늘어나는 지방 거주자들의 원정 진료 또한 지방 의료계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2009년 건강보험공단이 제출한 ‘지방거주자들의 수도권 의료기관 진료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 의료 기관에서 원정 진료를 받은 지방 거주자의 수는 225만4,000명에 달한다. 2003년의 170만3,300명에 비해서 32.3%가 증가한 수치이다.
이들이 수도권 의료 기관에서 진료를 받는 데 지급된 총 진료비는 1조 6,836억 원으로, 지난 2003년의 8,417억 원에 비해 2배 정도 늘었다. 진료비에 포함되지 않은 비급여부분과 교통비, 체류비 등을 합하면 그 액수는 2조원을 넘을 것으로 본다. 지역 의료 보험료가 지역 의료 인프라에 투자 되지 않고 수도권으로 회수 되는 것이다.
막대한 투자와 홍보를 통해 병상과 환자를 늘려가는 수도권 대형 병원에 비해 지방 병원의 외적인 발전 규모는 다소 더딘 것이 현실이다. 지방의료 종사자와 전문가들은 “KTX와 같은 교통수단으로 인해 지방 환자들의 수도권 접근성이 나날이 좋아지는 현실에서, 특화된 분야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와 마케팅, 그리고 정부차원에서의 모니터링과 관련 법제정 등의 노력이 없는 한 의료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앞으로 더욱 심화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안지훈 기자/영남
<ahnadun@e-mednews.com>
'73호(2010.03.02.) > 의료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부인과 의사들 스스로 ‘낙태수술 고발’ (0) | 2010.05.05 |
---|---|
의전원 등록금 건국대 1,042만원 ‘최고’ (0) | 2010.05.05 |
용산참사, 해결되지 않은 해결 (1) | 2010.05.05 |
2010 의대생신문 기획연재 “의료계 현실 진단” (0) | 2010.05.05 |
취업 후 학자금 상환제 첫발 내딛어 (0) | 2010.05.05 |